본문 바로가기
환경‧노동

[우먼타임스] 철강 산업 ‘탈탄소’ 필요한데...포스코·현대제철 전략은?

by 우먼타임스 2023. 6. 12.

 

철강업계 RE100 ‘스틸제로’

싱가포르에서 철강 분야 기후변화 대응 회담

 

우먼타임스 = 이한 기자

 

싱가포르에서 열린 ‘아시아 기후행동회담’에서 철강 산업의 탈탄소 관련 이슈를 논의하는 ‘스틸제로’ 회담이 열렸다. 스틸제로는 철강 부문의 기후변화 대응을 목적으로 시작한 글로벌 이니셔티브다. 이 회담에서는 포스코와 현대제철의 사례가 공유됐다.

스틸제로 회담에서 기조연설자로 나선 김기영 충청남도 행정부지사. (기후솔루션)

스틸제로 회담에서 기조연설자로 나선 김기영 충청남도 행정부지사. (기후솔루션)

다국적 기후단체 클라이밋 그룹이 8일 싱가포르에서 ‘아시아 기후행동회담’을 개최했다. 이 단체는 RE100 캠페인을 이끄는 곳이다. 이날 기후회담에서는 철강 관련 문제를 다룬 ‘스틸제로’ 회담이 함께 열렸다. 스틸제로는 철강 부문의 기후변화 대응을 목적으로 시작한 글로벌 이니셔티브다. 클라이밋 그룹이 리스폰시블스틸(ResponsibleSteel)의 도움을 받아 시작했다.

 

기존의 철강 생산 공정은 제철용 석탄에 의존하는 고로-전로(BF-BOF) 중심인데, 이를 전기로와 수소환원제철법 등 온실가스가 발생하지 않는 공정으로 전환하고 공급망 전체에서 탄소중립을 달성하자는 게 스틸제로의 목적이다.

 

철강사들이 생산한 강재를 소비하는 전 세계 여러 기업들이 스틸제로에 가입하고 있으며, 스틸제로를 중심으로 철강사들과 철강 생태계에 속한 다양한 기업들이 힘을 모으고 있다. 볼보, 머스크, 오스테드, 지멘스 가메사 등 전 세계 36개 기업이 가입했으며 이 기업들 역시 이번 스틸제로 회담에 참여해 의견을 모았다.

 

국내 기후단체 기후솔루션에 따르면 철강사들이 생산한 강재를 소비하는 전 세계 여러 기업들이 스틸제로에 가입하고 있으며, 스틸제로를 중심으로 철강사들과 철강 생태계에 속한 다양한 기업들이 힘을 모으고 있다. 볼보, 머스크, 오스테드, 지멘스 가메사 등 전 세계 36개 기업이 가입했으며 이 기업들 역시 이번 스틸제로 회담에 참여해 의견을 모았다.

 

이번 스틸제로 회담에는 충청남도가 참여했다. 기조연설자로 나선 김기영 충청남도 행정부지사는 국가 탄소중립 목표인 2050년보다 5년 빠른 충남의 2045년 탄소중립 목표를 소개했으며 도내에 자리한 현대제철을 언급하며 스틸제로에 대한 공감과 계획을 발표했다.

 

김 부지사는 "충청남도에는 대한민국의 주요 철강기업이 위치하고 있는 만큼 철강산업의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서 저희 도는 스틸제로와 긴밀하게 협력하는 가운데 철강산업의 탈탄소화 관련하여 기업의 구조 전환을 위한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 중"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저탄소 전환을 위한 세제 및 금융지원, 청정에너지 확보를 위한 대규모 청정수소 생산 클러스터 지정, 해상 풍력단지 조성 등의 정책도 추진"한다고 말했다.

 

클라이밋 그룹 헬렌 클락슨 CEO도 기조연설에서 녹색철강으로 전환하는 데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 국가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클락슨은 “전 세계 조강생산량 중 70%를 차지하는 아시아에 전 세계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좋은 기회가 있다”라며 “아시아 철강 기업들이 기후친화적으로 나아가면 전 세계 철강업계가 이를 따를 것”이라고 말했다.

 

오스테드의 파스칼 랑제 아태지역 공급망 책임은 패널 토론에서 풍력 구조물용 강재 공급망에서 탈탄소를 이루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2011년 포스코와 맺은 양해각서를 사례로 들었다. 오스테드는 그린수소 생산 시설을 한국에 구축하고, 포스코는 해상풍력발전 단지 구축에 필요한 강재 공급과 함께 풍력발전을 활용해 그린수소를 생산하겠다고 합의했다.

 

리스폰시블스틸의 애니 히턴 CEO는 패널 토론에서 리스폰시블스틸에 가입한 현대제철과 포스코를 소개했다. 두 철강사는 리스폰시블스틸이 정한 녹색철강과 지속가능 기준에 따르며 철강계의 탄소중립 노력에 동참하고 있다.

 

기후솔루션은 이와 관련 “아직 국내에서는 스틸제로에 정식으로 가입한 철강 수요 기업은 없지만, 아시아에서 열린 첫 스틸제로 회담인 만큼 국내 기업들에게도 좋은 계기가 있을 것이라 기대되고 있다”고 밝혔다.

 

국내 총 온실가스 배출량 중 산업 부분은 약 36%를 차지하며, 철강 산업 단독으로만 국내 총 온실가스 배출량 중 약 13%를 차지하고 있다.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서는 철강의 탈탄소가 필요하다. 하지만 수소환원제철 기술과 친환경 전기로 기술 등을 개발하고 상용화하려면 막대한 투자가 필요하다. 이로 인한 원가 상승은 수요 기업들이 녹색철강 구매를 주저하게 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철강업계의 전환을 위해 마중물 역할을 해줄 정책과 금융 지원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들린다. 기후솔루션은 “녹색철강 시장이 충분히 성숙해질 수 있도록, 정부 및 지자체의 초기 시장 형성을 위한 정책 및 금융 지원이 필요하다고 철강 관계자들은 입을 모았다”고 전했다.

 

김 부지사 역시 철강의 탈탄소에서 공공 부문의 역할을 강조했다. 김 부지사는 "철강기업의 적극적인 탄소감축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저탄소 철강제품이 빠르게 상용화되도록 정부나 공공기관이 시장에서 수요를 적극 창출해 주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김 부지사는 "철강 탈탄소화의 필수 조건 중 하나인 대규모 녹색 전력 공급을 하려면 재생에너지 생산 설비도 대규모로 확장해야 한다"라고 덧붙였다.